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3

[C++] 클래스와 객체(1) 객체지향 언어의 효시는 1967년에 발표된 Simula 67이다. 그 이름을 통해 예상할 수 있는 것처럼 Simula는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위해 개발된 언어이다. 시뮬레이션이란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개체와 이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컴퓨터를 통해 가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객체지향 개념의 태동이 시뮬레이션과 관계가 있다는 점은 객체지향을 이해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즉, 분석의 출발점이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해 작업을 수행하는가'가 아니라 '현실세계를 시뮬레이션하는 컴퓨터 내의 가상세계 안에 어떠한 개체들이 존재하는가'이다. 시뮬레이션의 대상이 되는 개체들은 각각 정해진 동작을 하며, 그 과정에서 개체 각각의 내부 상태가 변화할 것이다. 행위와 데이터를 결합하여 놓은 것이.. 2023. 9. 4.
[프로그래머스] Lv.0 n의 배수 - 자바(java) 문제 설명 정수 num과 n이 매개 변수로 주어질 때, num이 n의 배수이면 1을 return n의 배수가 아니라면 0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내가 작성한 답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 int n) { int answer = 0; if(num%n == 0){ answer = 1; }else{ answer = 0; } return answer; } } 2023. 9. 1.
[C++] 함수 함수를 정의하는 일반적인 형식 ReturnType functionName(fParameterList) //머리부(header) {//몸체 블록 Type1 localVar1;//지역변수 선언 type2 localVar2; .... statement1;//처리할 작업을 수행하는 문장 statement2; .... return returnExpression; //결괏값을 반환함 } 값을 반환할 필요가 없을 때는 void형 사용 fParameterList는 형식 매개변수 함수를 호출할 때에는 함수의 이름과 함께 필요한 인수를 전달한다. 1. functionName(aParameterList); //void형 함수나 반환된 값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 2. varName = functionName(aParamet.. 2023. 8. 30.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24장 클로저 클로저는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개념이 아니다. 함수를 일급 객체로 취급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특성이다. MDN에서는 클로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클로저는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니다. const x = 1; function outerFunc(){ const x = 10; function innerFunc(){ console.log(x); //10 } innerFunc(); } outerFunc(); 중첩 함수 innerFunc의 상위 스코프는 외부 함수 outerFunc의 스코프다. 따라서 중첩 함수 innerFunc 내부에서 자신을 포함하고 있는 외부 함수 outerFunc의 x 변수에 접근할 수 있다. 24.1 렉시컬 스코프 자바스크립트 엔진.. 2023. 8. 29.
[프로그래머스] Lv.0 n 번째 원소까지 - 자바(java) 문제 설명 정수 리스트 num_list와 정수 n이 주어질 때, num_list의 첫 번째 원소부터 n 번째 원소까지의 모든 원소를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내가 작성한 답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_list, int n) { int[] answer = new int[n]; for(int i=0; i 2023. 8. 27.
[프로그래머스] Lv.0 카운트 업 - 자바(java) 문제 설명 정수 start_num와 end_num가 주어질 때, start_num부터 end_num까지의 숫자를 차례로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내가 작성한 답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List solution(int start_num, int end_num) { List answer = new ArrayList(); for(int i=start_num; i 2023. 8. 26.
[프로그래머스] Lv.0 제곱수 판별하기 - 자바(java) 문제 설명 어떤 자연수를 제곱했을 때 나오는 정수를 제곱수라고 합니다.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이 제곱수라면 1을 아니라면 2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내가 작성한 답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int answer = 0; if(Math.sqrt(n)%1==0){ answer = 1; }else{ answer = 2; } return answer; } } Math.sqrt() 메서드는 자바의 java.lang.Math 클래스에 포함된 정적 메서드 중 하나로, 주어진 숫자의 제곱근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2023. 8. 25.
[프로그래머스] Lv.0 공배수 - 자바(java) 문제 설명 정수 number와 n, m이 주어집니다. number가 n의 배수이면서 m의 배수이면 1을 아니라면 0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내가 작성한 답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ber, int n, int m) { int answer = (number%n==0) && (number%m==0) ? 1 : 0; return answer; } } 2023. 8. 25.
[SQLD] 관리 구문 - DML TCL DDL DCL 01 DML DML은 Data Manipulation Language란 의미로 DDL에서 정의한 대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수정, 삭제,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INSERT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명령어이다.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명1, 컬럼명2, ...) VALUES (데이터1, 데이터2, ....);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 (전체 컬럼에 입력될 데이터 리트스); UPDATE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WHERE 절이 없으면 테이블의 모든 Row가 변경되니 주의해야 한다.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명 = 새로운 데이터(WHERE 수정할 데이터에 대한 조건); DELETE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싶을 대 사.. 2023. 8. 24.
[SQLD] SQL 활용 (3) - Top-N 쿼리, 셀프 조인, 계층 쿼리 06 Top-N 쿼리 ROWNUM Oracle의 ROWNUM은 슈도 컬럼(Pseudo Column)이다. Pseudo는 사전적 의미로 '가짜'라는 뜻을 가지 있다. ROWNUM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가짜 컬럼이라고 대답할 수 있다. ROWNUM은 항상 < 조건이나 2023. 8. 24.
[C++] C++ 언어의 기초 (2) - 흐름제어, 구초체와 클래스, 포인터 조건문 if문 if(조건) { 문장 1; //조건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else{ 문장 2;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할 문장 } switch문 switch(정수형_수식) { case 값1: 문장1; //정수형 수식의 값이 값1일 대 실행할 문장들을 나열 break; //switch문을 빠져나가게 함 case 값2: 문장2; //정수형 수식의 값이 값2일 대 실행할 문장들을 나열 break; //switch문을 빠져나가게 함 ..... default : //정수형 수식의 값과 일치하는 case 값이 없을 때 문장n; //실행할 문장들을 나열 } 반복문 for문 for(초기화; 반복조건; 증감) { 문장; } for(원소선언 : 데이터집합) { 문장; } while문 while(반복 조건) { 문장;.. 2023. 8. 23.
[C++] C++ 언어의 기초 (1) - 기본 자료형, 연산자 식별자 프로그램을 만들 때 여러 가지 대상을 구분하기 위해 이름을 만들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름을 식별자(identifier)라고 한다. 변수나 함수, 클래스 등의 이름이 식별자에 해당한다. 기본 자료형 유형 자료형 기억공간 (byte) 정수형 char 1 unsigned char 1 short 2 unsigned short 2 int 4 unsigned int 4 long 4 unsigned long 4 long long 8 unsigned long long 8 wchar_t 2/4 bool 1 실수형 float 4 double 8 long double 8 정수형 자료형 이름 앞에 unsigned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면 음수를 제외한 정수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양·음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부호가 .. 2023. 8. 23.